지속가능한 복지실천! 복지가 모두의 일상이 되다
번 오 플 랫 폼
“열려있는 번오마을, 소통하는 번오플랫폼”
주요고객
고객(직원, 이용자, 협력기관)을 대상으로 연결강화(소통,공유)를 통한 복지관에 대한 인식변화와 신뢰 구축
내부고객(직원)
근무관련 제도적/환경적 시스템 기본 마련과 평가/점검 체계 정립을 통한 직원 만족도 증대외부고객(이용자)
기관 이용/참여에 대한 인식개선 및 긍정적 이미지 제고네트워크
법인 및 구청, 유관기관과의 약한 관계망과 신뢰관계 구축핵심고객별 중점과업 및 일반사업
구분 | 단기(1~2년) | 중기(3~5년) | 장기(6~8년) |
---|---|---|---|
연도 | 2023~2024 | 2025~2027 | 2028~2030 |
목표 | 서울시 사회복지관 평가 전 항목 충실 내외부고객, 네트워크와 약한 관계망 형성 |
지도점검 지적사항 ‘0’화 공유/소통 기반의 긍정적인 복지관으로 인식 근무만족도/이용만족도 상승 |
서울시 사회복지관 평가 우수기관 내부고객과 이용자, 네트워크 기관의 참여를 통해 운영되는 기관으로 인식 |
사업운영 | 소극적 참여를 통해 ‘복지관은 관계를 형성하고 새롭게 배우고 익힐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인식 1. 이용자들에 대한 정기만남 및 상호관계 증진 (노인일자리, 공익활동) 2. 직원의견 수렴 체계 정립(고충처리) 3. 주민모니터링단 초기 단계 모임형성 4. 정기적인 교육과 간담회 진행 |
적극적 참여를 통해 내외부고객과 네트워크 기관이 함께 지역의 변화를 위해 동참해야 함을 인식 1. 이용자들의 욕구에 기반한 활동진행 2. 이용자, 네트워크 기관들이 홈페이지 소통참여 3. 주민모니터링단의 활성화(기관 운영을 비롯한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함께 참여) 4. 이용자, 네트워크 기관들 간의 약한 관계형성 |
번오마을을 중심으로 내외부고객과 네트워크 기관들이 상호교류하며 확장해나가는 단계 1. 이용자들이 스스로 활동을 기획 및 실천 2. 상호소통 및 교류를 통한 각 모임의 확장 3. ‘번오지기’로서의 인식 확립 |
네트워크 | 법인, 강북구청, 강북구 내 4개 종합사회복지관 회계행정 관련 실무자 | 강북구 내 지역복지관 및 일자리 관련 사업 운영기관 공익활동관련 기관 및 지역 내 단체 | 강북구복지발전협의회 소속 기관 및 단체 지역 공공기관 확장(소방서, 보건소) |